교육/한국사

9주 5소경

리치라이프 연구소 2024. 5. 23. 19:31
반응형

9주(九州)와 5소경(五小京)은 통일신라의 지방 행정구역 체계로, 신라가 삼국 통일을 달성한 후 중앙 집권의 강화를 목적으로 시행한 행정구역입니다.

9주5소경

 

 

반응형

 

9주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지역을 병합하고, 

나당전쟁으로 당나라의 잔여세력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축출한 이후, 

신문왕 5년(685) 전국의 행정 구역을 

9주·5소경으로 재조직하여 편성하였다. 

9주는 고대 중국의 행정구역인 

구주(九州)에 맞춘 것이고, 

5소경은 오행에 맞췄을 가능성이 크다.

 

주는 현재 대한민국과 고려, 조선의 도와 

비슷한 위상의 행정 구역이다.

 〈삼국사기〉 지리지를 기준으로 

9개 주의 이름은 각각, 

상주(尙州), 양주(良州), 강주(康州), 한주(漢州), 

삭주(朔州), 명주(溟州), 웅주(熊州), 전주(全州), 무주(武州)이다.

그밖에 특수 행정 단위인 향·부곡도 산하에 있었다. 

향소부곡은 고려의 행정구역이라고 주로 알려져 있지만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잡다한 언급을 

생략했을 뿐이지 신라 때부터 존재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신장조에서도 

신라에서 전정과 호구 미달로 현이 될 수 없는 곳을 

향이나 부곡으로 해 상위 행정구역에 

소속시켰다고 되어있다. 

 

예를 들어 지금의 경남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는 신라 때 

천산부곡(穿山部曲)이었는데 

고려 때 수산현으로 바꾸었다.[1]

 

5소경

小京. 말 그대로 작은 수도로서,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의 기능을 분담하기 위해

 전국의 대도시에 설치한 행정 구역이다.

서라벌이 한반도의 동남부에 치우쳐 있는 

까닭으로 지역적 편중을 다소 보완하기 위해

 '소경'이라 불리는 특수한 행정 구역을 경주로부터 

부채꼴 모양으로 설치했다. 

옛 가야 금관국의 본거지에 하나, 백제, 고구려의 옛 땅에 

각각 둘씩 모두 다섯 개의 소경을 두었다. 

아래 외에 아시촌소경(지증왕대, 의성군 안계면)과

 하슬라소경(선덕여왕대, 강릉시)이 있었는데 

세월에 따라 변화가 있었다.

출처: 아시아경제

 

반응형

국원소경→중원경(中原京: 충주): 

옛 고구려의 국원성(진흥왕)
금관소경→금관경(金官京: 김해): 

옛 가야 금관국(문무왕)
북원소경→북원경(北原京: 원주): 

옛 고구려의 평원군(문무왕)
남원소경→남원경(南原京: 남원): 

옛 백제의 고룡군(신문왕)
서원소경→서원경(西原京: 청주): 

옛 백제의 상당현(신문왕)

이곳에는 부유한 중앙 귀족을 정착시켜

 정복지를 안정시키고, 

토착 지방 세력을 견제하게 하였으며, 

신라 중앙정부의 문화와 정책을 

정복지에 확산시키기 위한 

첨병 역할을 하였던 행정 구역이었다.

소경의 특기할 점은, 대한민국의 광역시와 달리 

상위 행정 기관인 '주(州)'로 부터

 독립된 행정 기관이 아니었으며, 

주 도독의 지시와 통제를 받는 

하위 편제 단위였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으로 비유한다면 

광역시보다는 특례시에 좀 더 가깝다.

KBS대하드라마에서 전무송이 연기한 최승우 (파진찬)



신라는 소경을 통치하기 위해 장관으로 

사대등(仕大等)을, 차관으로 사대사(仕大舍)를 파견하였다.

사신의 관등은 최대 파진찬으로, 이찬급까지도 

올라가는 주 도독보다는 약간 낮은 관등의 인물이 맡았다. 

 사대등은 사신(仕臣)이라고도 부르는데, 

관등이 급찬에서 파진찬까지인 자가 임용되었다. 

사대사에는 관등이 사지에서

 대나마까지인 자를 임명하였다. 

9세기에 당나라의 경조부와 하남부, 

태원부 등 3경부(京府)의 관직명에 견주어 

사대등을 대윤(大尹), 사대사를 소윤(少尹)이라 불렀다.

 

장관급 인사이므로 당연히 사신으로 

임명된 사람들은 모두 진골이었다.

반응형

오소경의 설치 배경과 통치체제

 


현재 신라의 수도가 한반도 동남쪽에 편재하여 

지방을 효율적으로 지배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소경을 설치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찍이 신라가 영토 확장에 따른 

지방 지배의 효율성을 높이고, 

피정복 지역의 지배층을 연고지로부터 

유리시켜 재기를 방지하는 한편, 

그 지배층을 회유 감독하기 위해 

소경을 설치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반응형


이 밖에 지방에 파견된 6부 소속의 관리, 

즉 지방관의 통치를 배후에서 지원해주기 위해

 교통 요지에 왕경 6부 사람들을 이주시켜 

소경을 설치하였다고 보는 견해, 

 

지방에서 거둔 수취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도로 운송할 수 있는 교통 요지에 

6부 사람들을 집단적으로 이주시켜 

소경을 설치하였다고 보는 견해, 

 

5세기 말 이후 신라 수도로 인구와 재화가 집중되자, 

인구와 재화를 분산하기 위해 

지방의 교통 요지에 소경을 설치하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9주의 치소 가운데 상주와 전주에서 

사방 직선도로로 구획된 주거 공간을 중심으로 

도시를 계획적으로 건설하였음이 밝혀졌다. 

출처: 경향신문

 

남원시에서 신라 수도 경주와 마찬가지로 

평지에 사방을 일정하게 구획한 모습으로 

도시를 건설한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이에 근거하여 9주의 치소뿐만 아니라 

5소경 역시 도심지를 

도시 계획에 의거해 정비하였다고 이해하고 있다.

반응형




신라 하대에 잦은 재해와 

지배층의 과중한 수취로 인해 

농민들이 도적이 되어 봉기하였다. 

 

중앙 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어 

종종 주치(州治)에 거주한 진골 귀족이나 

지방 세력이 반란을 일으켰다. 

 

신라는 지방 통제의 핵심 거점으로서 

주치의 기능이 약화되자, 

지방의 원활한 통제를 위해 

교통의 요지에 위치한 5소경을 

5부로 재편한 것으로 이해한다.

 

 

출처: 나무위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