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 81

[Android] layout 접었다 폈다 하기

[Android] layout 접었다 폈다 하기 1. Gradle에 추가 implementation 'com.ramotion.foldingcell:folding-cell:1.2.3' 2.xml ​ ​ ​ 3. 메인코드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 get our folding cell final FoldingCell fc = (FoldingCell) findViewById(R.id.folding_cell); ​ // attach click listener to folding cel..

교육/IT 2023.03.29

[Android] xml에서 text auto로 조정하는 방법

Table안에 넣을때나 다른 여러가지 경우 화면비율이 바뀔때를 대비해서 textview내의 text들이 자동으로 조절되게 할때 아래 내용을 참고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려면 TextViewCompat.setAutoSizeTextTypeUniformWithConfiguration( TextView textView, int autoSizeMinTextSize, int autoSizeMaxTextSize, int autoSizeStepGranularity, int unit) TextViewCompat.setAutoSizeTextTypeUniformWithConfiguration(textView, 1, 17, 1, TypedValue.COMPLEX_UNIT_DIP); https://stackoverflow.com/q..

교육/IT 2023.03.29

포폄법 (褒貶法), 포폄제

포폄법 (褒貶法) 조선시대 관리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해 포상과 처벌에 반영하던 인사행정 제도. 포(褒)는 기리다, 칭찬하다, 폄(貶)은 떨어뜨리다, 낮추다 등의 뜻을 가진 한자다. 포폄의 ‘포’는 포상을 의미하고 ‘폄’은 폄하(貶下)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폄법이란 관리들의 근무태도를 평가해서 승진이나 좌천, 포상과 처벌에 반영되던 인사평정제도였다. 고려 시대 고과법,연종도력법 도입, 조선시대에 포폄법 추가 고려나 조선시대 공무원들도 연말이 되면 근무실적평정을 받아야 했다. 이 제도를 포폄법이라 한다. 본디 이 제도는 989년(고려 성종 8년)에 시작되어 조선시대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수록되기까지 이른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고과(考課)와 포폄이 나누어져 있는데, 고과는 관리의 출퇴근시간, 업무처리 건수, ..

교육/한국사 2023.03.29

[Android] list안에 원하는 문자열 있는지 찾기

list에 원하는 문자열이 들어있는지는 contains 로 확인하면 된다. 있으면 true를 반환함. contains(), Indexof()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ListValueChec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 list = new ArrayList(Arrays.asList("Everland", "Open", "Close")); // Contains로 문자열 포함 여부 체크 boolean isContainsEverland = list.contains("Everland"); boolean isContainsT..

교육/IT 2023.03.28

노비안검법 - 고려 광종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은 고려 광종 7년(956년)에 실시된 법제로서, 원래 노비가 아니었는데 전쟁에서 포로로 잡혔거나, 빚을 갚지 못하여 강제로 노비가 된 자를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법이다. (본래 양인이었는데 노비가 된 사람을 조사하여 다시 양인으로 만들기 위해 956년(광종 7)에 실시한 법.) 신라 말 고려 초에 전국 각지에서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구축했던 호족들은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토지와 노비를 늘려 자신들의 경제적⋅인적 기반으로 삼았다. 이는 왕권을 크게 위협하고 국가의 통치 기반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강력한 중앙 집권적 국가 체제를 지향했던 광종(光宗, 재위 949~975)은 노비안검법을 단행하여, 후삼국 통일 전쟁 과정에서 전쟁 포로로 노비가 되었거..

교육/한국사 2023.03.27

정묘약조 (丁卯約條) - 정묘호란, 병자호란

1616 누르하치 후금건국 -> 1623 인조반정 -> 1627 후금 침입 (정묘호란) -> 인조 강화도로 피난 -> 정봉수 (용골산성) 이립 (의주) 의병 -> 형제의 맹약 (정묘약조) -> 후금이 청 건국 1636 -> 군신관계 요구 -> 주화(최명길) vs 주전(김상헌, 윤집, 홍익한, 오달제) -> 병자호란 1636 , 인조 남한산성 -> 남한산성 항복 - 삼전도의 굴욕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조선이 후금(後金 : 뒤의 청나라)과 맺은 강화 조약. 정묘호란 때 평양을 지나 황주에 이른 후금군은 조선측에 서신을 보내어 7가지 죄안(罪案)을 들어 침입의 이유를 들었다. 그리고 그 요구 조건으로 ① 후금에 할지(割地)할 것, ② 모문룡(毛文龍)을 잡아 보낼 것, ..

교육/한국사 2023.03.24

기효신서, 속오법 - 조선후기 군사훈련

《기효신서》(紀效新書)는 중국 명(明)의 무장 척계광(戚継光)이 저술한 병서이다.. 간결하고도 명료한 저술로 전략, 무기 및 맨손 격투, 병원 선발, 훈련, 무기, 진법, 군율, 행군, 막사, 병법 등의 다양한 방면을 다루고 있다. 왜구 토벌 등에도 종군했던 척계광의 군인으로써의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저술이다. 실제로 왜구들이 쓰는 검을 대적하기 위한 전술로써 칼을 떨쳐낼 수 있는 낭선(狼筅)과, 여섯 명이 한 조를 이루어 적을 대적하는 전법은 왜구 진압에 크게 효과를 보았다. 한국에서는 임진왜란을 전후해 류성룡의 건의로 《 기효신서》를 적극적으로 수입하여 훈련도감(訓鍊都監)의 교범으로 삼았으며, 무예도보통지가 편찬되는 정조 시대까지 척법(戚法)이라고 불리며 군사 훈련의 주요 교범이 되었다. 조선은 기본..

교육/한국사 2023.03.23

이앙법(移秧法) - 조선시대의 논농사

이앙법 못자리에서 일정기간 모를 키운 후 본답에 옮겨 재배하는 농법. 이앙법은 벼의 모종을 일정 시기까지 구분하여 재배하고 이후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다른 논으로 옮겨 심어 재배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앙법을 통해 벼의 초기 성장과 이후 본격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는 토지를 나누어 경작할 수 있게 되었다. 세종 11년(1429) 세종의 명에 의해 만들어진≪農事直說≫에 의하면 조선 전기에 논에서 씨앗을 뿌려 재배하는 방법은 水耕·乾耕·揷種(移秧)의 3가지가 있었다. 수경은 물을 댄 논에 볍씨를 뿌리는 방법이고, 건경은 물을 대지 못한 마른 논에 볍씨를 뿌리는 방법이며, 삽종은 논의 일부분인 모판에 볍씨를 뿌렸다가 볍씨가 자라서 일정한 크기의 모가 되었을 때 본 논에 줄을 맞추어 옮겨 ..

교육/한국사 2023.03.22

[Android]INSTALL_PARSE_FAILED_MANIFEST_MALFORMED

INSTALL_PARSE_FAILED_MANIFEST_MALFORMED build.gradle에서 sdk버전을 바꾸었더니 아래의 에러가 생겼다. compileSdkVersion 31 다른 것들도 버전을 맞추지 않아서 생기는 에러이다. 1. build.gradle에서 targetSdkVersion 31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AndroidManifest.xml 에가면 빨간 줄이 그어져 있는 에러부분이 있다. alt+enter를 눌러서 android:exported="true" 추가해주면 된다.

교육/IT 2023.03.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