妙法蓮華經
묘법연화경
第三卷 五 藥草喩品
제삼권 5 약초유품
爾時世尊 告摩訶迦葉 及諸大弟子
이시세존 고마하가섭 급제대제자
그 때, 세존께서 마하가섭과 대제자들에게 이르셨다.
善哉善哉 迦葉 善說如來 眞實功德 誠如所言
선재선재 가섭 선설여래 진실공덕 성여소언
“훌륭하고 장하다, 가섭이여. 여래의 참된 공덕을 잘 설하였도다. 참으로 그 말과 같으니라.
如來 復有無量無邊 阿僧祗功德
여래 부유무량무변 아승지공덕
여래에게는 한량없고 끝없는 아승기 수(數)의 공덕이 있으니,
汝等 若於無量億劫 說不能盡
여등 약어무량억겁 설불능진
너희가 설사 한량없는 억겁을 두고 설할지라도 능히 다하지 못하리라.
迦葉當知 如來是諸法之王 若有所說 皆不虛也
가섭당지 여래시제법지왕 약유소설 개불허야
가섭이여, 알지어다. 여래는 모든 법의 왕이니, 설하는 바가 모두 다 허망하지 않느니라.
於一切法 以智方便 而演說之 其所說法 皆悉到於 一切智地
어일체법 이지방편 이연설지 기소설법 개실도어 일체지지
모든 법을 지혜의 방편으로 설할지라도 그 설한 법은
모두 다 일체지지(一切智地)에 이르게 하느니라.
如來觀知 一切諸法 之所歸趣 亦知一切衆生 深心所行 通達無礙
여래관지 일체제법 지소귀취 역지일체중생 심심소행 통달무애
여래는 모든 법이 돌아갈 곳을 관하여 알며,
또 일체 중생의 깊은 마음의 행하는 바를 알아서 통달하여 걸림이 없느니라.
又於諸法 究盡明了 示諸衆生 一切智慧
우어제법 구진명료 시제중생 일체지혜
또, 모든 법의 궁극을 모두 다 밝게 알아 모든 중생에게 일체 지혜를 보이느니라.
迦葉 譬如三千大千世界 山川溪谷 土地所生
가섭 비여삼천대천세계 산천계곡 토지소생
가섭이여, 비유하건대, 삼천 대천세계의 산천과 계곡, 땅에서 난
卉木叢林 及諸藥草 種類若干 名色各異
훼목총림 급제약초 종류약간 명색각이
초목과 숲과 여러 약초 종류 약간이 각각 이름과 색이 다르다 할지라도,
密雲彌布 徧覆三千 大千世界 一時等澍 其澤普洽
밀운미포 변부삼천 대천세계 일시등주 기택보흡
짙은 구름이 가득 퍼져 삼천 대천세계를 두루 덮어 일시에 골고루 비 퍼부어[等澍]
그 적심이 두루 흡족하면,
卉木叢林 及諸藥草 小根小莖 小枝小葉 中根中莖 中枝中葉
훼목총림 급제약초 소근소경 소지소엽 중근중경 중지중엽
초목과 숲이며 약초들의 작은 뿌리, 작은 줄기와 작은 가지, 작은 잎새와 중간 뿌리, 중간 줄기와 중간 가지, 중간 잎새와
大根大莖 大枝大葉 諸樹大小 隨上中下 各有所受
대근대경 대지대엽 제수대소 수상중하 각유소수
큰 뿌리, 큰 줄기와 큰 가지, 큰 잎새와 크고 작은 나무들이 상, 중, 하에
따라서 제각기 받아들이는 것과 같으니라.
一雲所雨 稱其種性 而得生長 華菓敷實
일운소우 칭기종성 이득생장 화과부실
한 구름에서 내리는 비를 맞으나, 그 종자에 맞추어 생장하여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느니라.
雖一地所生 一雨所潤 而諸草木 各有差別
수일지소생 일우소윤 이제초목 각유차별
비록 한 땅에서 나고 같은 비에 젖으나, 모든 초목이 각각 차별이 있느니라.
迦葉當知 如來亦復如是 出現於世 如大雲起
가섭당지 여래역부여시 출현어세 여대운기
가섭이여, 알지어다. 여래도 이와 같아, 세상에 출현함은 큰 구름이 일어남과 같고,
以大音聲 普徧世界 天人阿修羅 如彼大雲 徧覆三千大千國土
이대음성 보편세계 천인아수라 여피대운 변부삼천대천국토
큰 음성으로 세계의 하늘과 인간, 아수라에게 두루 들리게 함은 저 큰 구름이
삼천 대천세계를 두루 덮음과 같으니라.
於大衆中 而唱是言
어대중중 이창시언
그리하여 여래는 대중 가운데에서 이같이 선언하느니라.
我是如來 應供 正徧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아시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나는 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調御丈夫 天人師 佛 世尊
조어장부 천인사 불 세존
조어장부, 천인사, 불, 세존이니라.
未度者令度 未解者令解 未安者令安 未涅槃者 令得涅槃
미도자영도 미해자영해 미안자영안 미열반자 영득열반
제도 안 된 자를 제도하고, 해득하지 못한 자를 해득하게 하며,
편안하지 않은 자를 편안하게 하고, 열반을 얻지 못한 자를 열반을 얻게 하느니라.
今世後世 如實知之 我是 一切知者 一切見者 知道者 開道者 說道者
금세후세 여실지지 아시 일체지자 일체견자 지도자 개도자 설도자
금세와 후세를 여실히 알아 나는 이 일체를 아는 자이며, 일체를 보는 자이며,
도를 아는 자이며, 도를 여는 자이며, 도를 설하는 자이니라.
汝等 天 人 阿修羅衆 皆應到此 爲聽法故
여등 천 인 아수라중 개응도차 위청법고
너희 하늘[天神], 인간, 아수라 등이 모두 이곳에 온 것은 법을 듣기 위해서이니라.’
爾時 無數千萬億種衆生 來至佛所 而聽法
이시 무수천만억종중생 내지불소 이청법
그 때, 수 없는 천만 억 중생이 내가 있는 처소에 이르러 법을 들었느니라.
如來于時 觀是衆生 諸根利鈍 精進懈怠
여래우시 관시중생 제근이둔 정진해태
여래께서는 때에, 중생의 근기가 총명하고 둔함과 부지런하고 게으른 것을 낱낱이 살펴,
隨其所堪 而爲說法 種種無量 皆令歡喜 快得善利
수기소감 이위설법 종종무량 개령환희 쾌득선리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능력에 맞추어 법을 설함이 갖가지로 한량없어서
모두 환희해 좋은 이익[善利]을 쾌히 얻도록 했느니라.
是諸衆生 聞是法已 現世安穩 後生善處 以道受樂 亦得聞法
시제중생 문시법이 현세안은 후생선처 이도수락 역득문법
모든 중생이 이 법문을 듣고, 현세에서는 편안하고 후생에서는 좋은 곳에 태어나
도(道) 닦아 낙(樂)을 받고, 또 법문을 듣게 되느니라.
旣聞法已 離諸障礙 於諸法中 任力所能 漸得入道
기문법이 이제장애 어제법중 임력소능 점득입도
법을 듣고는 모든 업장과 걸림을 여의고,
모든 법 가운데에서 제각기 능력에 따라 점차 깨달음을 얻게[入道] 되느니라.
如彼大雲 雨於一切 卉木叢林 及諸藥草 如其種性 具足蒙潤 各得生長
여피대운 우어일체 훼목총림 급제약초 여기종성 구족몽윤 각득생장
저 큰 구름이 모든 것에 비를 내려 초목과 숲과 모든 약초가
각기 그 종자에 따라 적심을 입어 각각 생장함과 같으니라.
如來說法 一相一味 所謂解脫相 離相滅相 究竟至於一切種智
여래설법 일상일미 소위해탈상 이상멸상 구경지어일체종지
여래의 설법은 언제나 한 모양 한맛이니, 이른바 해탈상(解脫相), 이상(離相), 멸상(滅相)이라.
마침내 일체종지(一切種智)에 이르게 되느니라.
其有衆生 聞如來法 若持讀誦 如說修行 所得功德 不自覺知
기유중생 문여래법 약지독송 여설수행 소득공덕 부자각지
어떤 중생이 여래의 법을 듣고 받들어 지니며 독송하거나 설한 바와 같이 닦아
행한다 할지라도, 그 얻은 공덕은 스스로는 깨닫지도 알지도 못할 것이니라.
所以者何 唯有如來 知此衆生 種相體性
소이자하 유유여래 지차중생 종상체성
왜냐하면, 오직 여래만이 이 중생의 종류[種]와 상(相)과 체(體)와 성품[性]과
念何事 思何事 修何事 云何念 云何思 云何修
염하사 사하사 수하사 운하념 운하사 운하수
무엇을 염(念)하며,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닦으며,
어떻게 염하며, 어떻게 생각하며, 어떻게 닦으며,
以何法念 以何法思 以何法修 以何法得何法
이하법념 이하법사 이하법수 이하법득하법
무슨 법으로 염하며, 무슨 법으로 생각하며, 무슨 법으로 닦으며, 무슨 법으로
무슨 법을 얻는지를 알기 때문이니라.
衆生 住於種種之地 唯有如來 如實見之 明了無礙
중생 주어종종지지 유유여래 여실견지 명료무애
중생이 머무르는 갖가지 경지를 오직 여래만이 여실히 보아 밝게 알아서 걸림이 없느니라.
如彼卉木叢林 諸藥草等 而不自知上中下性 如來知
여피훼목총림 제약초등 이부자지상중하성 여래지
저 초목과 숲과 약초들이 스스로는 상, 중, 하의 성질을 알지 못하지만,
여래는 이를 아는 것과 같으니라.
묘법연화경 제3권 5 약초유품 - 부처님의 가르침과 깨달음의 길
묘법연화경 제3권 5 약초유품에서는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전하신 법의 중요성과 중생들의 깨달음을 향한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여래의 진정한 공덕, 중생의 깨달음, 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내용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여래의 진실한 공덕
부처님은 가섭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여래에게는 무량 무변한 아승기 수의 공덕이 있다. 설사 무수한 억겁 동안 이 공덕을 설한다고 하여도 다할 수 없다." 이는 부처님의 진정한 공덕이 얼마나 방대하고 깊은지를 강조하며, 그 공덕이 모든 중생에게 이익을 준다는 뜻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모든 법의 왕이시며, 그가 설하시는 법은 결코 허망한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을 깨달음의 길로 이끄는 지혜의 법임을 명확히 하셨습니다. 여래의 법은 단지 법문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중생들이 깨달음을 얻고 일체지지에 이를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약초유품의 비유
부처님은 삼천 대천세계의 모든 초목과 숲, 약초들을 비유하여, 모든 중생이 각기 다른 조건과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십니다. "한 구름이 내려 모든 초목과 약초에 비를 뿌리듯이, 모든 중생이 같은 법을 받아들이지만 그 결과는 각기 다르다."
이 비유를 통해 부처님은 각기 다른 중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맞는 법을 받아들이고, 그로 인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는 중요한 교훈을 전하십니다. 그들은 각기 다르게 자라지만, 모두 같은 비로 법을 받으며 성장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여래의 가르침: 중생의 마음을 이해하다
부처님은 모든 중생의 심성을 깊이 이해하시며, 그들이 무엇을 염하며,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닦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아십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중생의 상황에 맞춰 맞춤법을 설하시고, 그들이 행복과 해탈을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부처님의 법은 단순한 가르침이 아니라, 중생을 행복으로 인도하는 법입니다. 이 법을 들은 중생은 현세에서의 평안, 후세의 좋은 곳에 태어남, 깨달음을 향한 수행을 통해 무상한 진리를 깨닫게 됩니다.
법을 들은 후의 변화: 중생의 깨달음
"법을 듣고 나서 중생은 장애물을 넘어가며, 점차 도에 이르게 된다." 부처님의 법을 통해 중생은 장애물을 여의고, 점차적으로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불교 수행의 중요성과, 부처님의 지혜로운 인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하며 깨닫다
이 경전은 부처님의 법을 듣고 수행하며 깨달음을 얻는 길을 설명합니다. 어떤 중생이 법을 듣고 설한 대로 실천한다면, 그가 얻은 공덕은 스스로 깨닫지 못할 수 있지만, 오직 여래만이 그 중생의 능력과 성향을 깊이 이해하고 이에 맞춰 법을 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묘법연화경 제3권 5 약초유품에서 부처님은 법을 듣고 수행하는 이들에게 각각의 능력에 맞는 교훈을 주시며, 그들이 깨달음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가르침을 전하고 있습니다.
#묘법연화경 #약초유품 #부처님의가르침 #중생의깨달음 #불교경전 #불교법 #여래의공덕 #불교수행 #깨달음의길 #불교철학 #여래의법 #법의힘 #불교지혜 #불교명상 #불교기본가르침 #법문 #불교의상징 #중생의깨달음과법
'소원이루기 > 법화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화경 제3권 5편 약초유품편(3) (0) | 2025.02.13 |
---|---|
법화경 제3권 5편 약초유품편(2) (0) | 2025.02.13 |
법화경 제2권 4편 신해품편(3) (0) | 2025.02.11 |
법화경 제2권 4편 신해품편(2) (0) | 2025.02.11 |
법화경 제2권 4편 신해품편(1)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