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폄제 2

포폄법 (褒貶法), 포폄제

포폄법 (褒貶法) 조선시대 관리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해 포상과 처벌에 반영하던 인사행정 제도. 포(褒)는 기리다, 칭찬하다, 폄(貶)은 떨어뜨리다, 낮추다 등의 뜻을 가진 한자다. 포폄의 ‘포’는 포상을 의미하고 ‘폄’은 폄하(貶下)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폄법이란 관리들의 근무태도를 평가해서 승진이나 좌천, 포상과 처벌에 반영되던 인사평정제도였다. 고려 시대 고과법,연종도력법 도입, 조선시대에 포폄법 추가 고려나 조선시대 공무원들도 연말이 되면 근무실적평정을 받아야 했다. 이 제도를 포폄법이라 한다. 본디 이 제도는 989년(고려 성종 8년)에 시작되어 조선시대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수록되기까지 이른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고과(考課)와 포폄이 나누어져 있는데, 고과는 관리의 출퇴근시간, 업무처리 건수, ..

교육/한국사 2023.03.29

포폄법 (褒貶法), 포폄제

포폄법 (褒貶法) 조선시대 관리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해 포상과 처벌에 반영하던 인사행정 제도. 포(褒)는 기리다, 칭찬하다, 폄(貶)은 떨어뜨리다, 낮추다 등의 뜻을 가진 한자다. 포폄의 ‘포’는 포상을 의미하고 ‘폄’은 폄하(貶下)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폄법이란 관리들의 근무태도를 평가해서 승진이나 좌천, 포상과 처벌에 반영되던 인사평정제도였다. 고려 시대 고과법,연종도력법 도입, 조선시대에 포폄법 추가 고려나 조선시대 공무원들도 연말이 되면 근무실적평정을 받아야 했다. 이 제도를 포폄법이라 한다. 본디 이 제도는 989년(고려 성종 8년)에 시작되어 조선시대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수록되기까지 이른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고과(考課)와 포폄이 나누어져 있는데, 고과는 관리의 출퇴근시간, 업무처리 건수, ..

카테고리 없음 2023.03.29
반응형